“초실감 디스플레이 구현할 ‘원천 소재’ 기술개발”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이버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133
본문
양자점 전계발광소자(QD-LED)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임재훈 성균관대 교수 연구팀(제1저자 정운호 대학원생)이 양자점 전계발광소자의 밝기와 안정성을 한 단계 끌어올린 전무기 소자의 핵심 요소 ‘무기 홀전달층’의 원천 소재를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전무기 소자는 전자 전달층과 홀전달층이 모두 무기물로 구성된 다층박막 형태의 소자 구조를 말한다. 양자점 기반 전계발광소자는 높은 색 순도를 특징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핵심 기술로 주목받는다. 다만 양자점 전계발광소자를 차세대 초실감 디스플레이, 옥외 디스플레이, 산업용 광원 등으로 확대하기 위해선 단위 면적당 광량을 범용 디스플레이보다 10배 이상 높여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결함이 제어된 산화니켈-산화마그네슘 합금 나노입자를 발광소자의 홀전달층으로 도입함으로써 전무기 전계발광소자의 외부 양자 효율을 16.4%까지 높이는 데 성공했다. 산화니켈-산화마그네슘 합금 나노입자는 합성 과정에서 내·외부의 ‘니켈 공공(나노 입자 박막 안에서 홀의 양과 이동도를 높이는 매개체)’이 과도하게 발생해 광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도 해결했다. 연구팀은 우선 표면에 존재하는 니켈 공공을 제거하기 위해 홀전달층의 홀 전도도를 낮췄다. 임 교수는 “이번 연구는 대한민국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하나인 차세대 초실감 디스플레이에 양자점 기술이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케 한 주요 사례”라며 “전무기 소자의 효율과 안정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도록 산화물 나노입자 합성법을 고도화하고, 초고해상도 화소를 제조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통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중견연구,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시아경제(www.asiae.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